1 |
Pankaj Mohan, Monk Iryon’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and Buddhist Thought - Focusing on India-related Entries of the Wangryeok(Royal Chronology), 신라사학보 제30호, 신라사학회, 2014.원문링크
|
2 |
Park Daejae, Doubts about the Edition of the 〈Samguk yusa〉,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.13,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, 2009.원문링크
|
3 |
Vladimir Tikhonov, 景文王의 儒ㆍ佛ㆍ仙 融和政策, 아시아문화 제12호,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, 1996.원문링크
|
4 |
全德在, 桃花女鼻荊郞 說話의 形成 背景과 歷史的 意味,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40, 2019.원문링크
|
5 |
全持慧, 김해 婆娑石塔의 原形에 대한 고찰, 진단학회 진단학보 133, 2019.원문링크
|
6 |
古棟, 中韓慈藏法師傳記的神異敘事硏究 : 以《續高僧傳》和《三國遺事》爲中心, 중국어문학논집 110, 중국어문학연구회, 2018원문링크
|
7 |
尹在敏, 光復 70년, 統一時代를 위한 古典文學, 국어국문학 제172호, 국어국문학회, 2015.원문링크
|
8 |
岡山善一郞, 新羅歌謠に表れた日本, 우리문학연구 제17집, 우리문학회, 2004.원문링크
|
9 |
景一男, 三國遺事의 神異出生考 , 語文硏究 15집,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, 1986.원문링크
|
10 |
朴姯娟, 史書로서의 『삼국유사』와 『古記』연구의 흐름, 진단학보 130, 진단학회, 2018원문링크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