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|
金貞善, 『삼국유사』설화의 놀이유형과 유아 놀이 의미 탐구 = Exploration of Type of Play for Children and Meaning of Play for Children in Folktale "Samgungnyusa (Heritage of Three States)",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2018.원문링크
|
2 |
권영경, Grimm동화의 "숲과 마녀"모티브 : <三國遺事>와의 비교로 본 그림동화의 문학성,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1995원문링크
|
3 |
권종남, 韓國 古代 木塔의 構造 및 意匠에 관한 硏究 : 皇龍寺 木塔의 復元的 考察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structural method and design of Korean ancient wooden stupa : focused on the original state of the wooden stupa of Hwangyongsa temple,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1998.원문링크
|
4 |
김난주, 한국창조신화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= (A) Study on Korean Creation Myths from the Viewpoint of the Jungian,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2003.원문링크
|
5 |
김문태, 『三國遺事』 所載 '龍' 傳承 硏究 : 敍述構造와 變貌樣相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f 'Dragon' Tradition in 『SamGug YuSa』- Related to its narrative structure and changing patterns -,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1991.원문링크
|
6 |
김영화, 金庾信說話의 變移와 受容硏究 = (A) Study on the Reception and Alterations of the Narrative of Kim Yu-Shin, 建國大學校 大學院 박사학위논문, 1994.원문링크
|
7 |
김은령, 삼국유사의 佛法傳書적 이해,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2014.원문링크
|
8 |
김일명, 三國遺事에 나타난 家族倫理에 관한 硏究,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1996.원문링크
|
9 |
김정선, 『삼국유사』 설화의 놀이유형과 유아놀이 의미 탐구,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, 2018.원문링크
|
10 |
김정수, 6~9세기 신라목탑 형태의 변천에 관한 연구 = (A) study on the transition about the shape of wooden stupa in Silla period form the 6th to 9th century, 京畿大學校 大學院 박사학위논문, 2005.원문링크
|